티스토리 뷰
목차
호스피스 · 완화의료는 삶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말기 환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삶의 질과 존엄성을 유지시켜 주는 육체적 정신적 돌봄 서비스입니다. 2024년 2월 현재 전국에 116개의 호스피스 전문병원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란 무엇이며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호스피스 · 완화의료란?
호스피스 · 완화의료는 말기 암과 만성호흡부전, 만성간경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으로 말기 판정을 받은 환자들과 가족들을 위해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이루어진 전문가들이 팀을 이뤄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료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유형
1. 입원형 호스피스
- 서비스 대상 : 말기암 환자
-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호스피스 전문기관 병동에 입원하는 것으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줄여줘 환자와 환자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드립니다.
2. 가정형 호스피스
- 서비스 대상 : 말기암, 말기만성호흡부전, 말기만성간경화, 말기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
- 가정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분들에게 호스피스 전문팀이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해 드립니다.
3. 자문형 호스피스
- 서비스 대상 : 말기암, 말기만성호흡부전, 말기만성간경화, 말기 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
- 일반 병동이나 외래진료를 받는 환자 분들이 서비스를 희망 시 해당 의료기관내 혹은 타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전문팀에 의뢰하여 서비스를 제공해 드립니다.
서비스 내용
- 신체 돌봄 : 통증이나 호흡곤란, 구토 , 복수 등의 신체적 어려움 등을 조절해 줍니다.
- 심리적 돌봄 : 환자의 슬픔, 불안감, 우울함 등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보살펴 줍니다. 환자 본인이 하고 싶어 하는 것에 대해 최대한 지지를 보내고, 가족과 충분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사후 가족 돌봄 : 환자 사후 가족들이 겪을 수 있는 불안, 우울 등과 같은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서비스 신청 방법
1.입원형 호스피스 신청방법
말기 암환자로 암에 대한 치료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다는 담당의사의 소견이 필요합니다. 진단 후 환자와 가족이 호스피스 병동 돌봄을 희망하면 담당의사는 의료기관내 혹은 타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전문가 팀에 진료 의뢰합니다.
타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 진료를 받으려면 다음의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기관마다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진료 전 확인 필요합니다)
▷ 말기암 진단 및 주요 병력이 기재된 의사소견서 또는 진료 의뢰서
▷ 의무기록사본: 최근 검사결과(혈액 및 영상검사), 최근 약 처방 내역
▷ 영상 복사(CD 또는 DVD) : 최근 촬영한 CT, MRI, PET-CT, x-ray 등
또한, 진료 전에 다음 사항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자 거동이 불가능한 경우 가족 대진이 가능한지
▷ 해당 기관에서 간병도움(보조활동인력)을 받을 수 있는지
▷ 상기 서류 외 지참 필요한 서류가 있는지
환자 및 가족에게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해 상담 후 입원 결정이 되면 호스피스 · 완화의료 이용동의서를 작성하고 입원 절차에 따라 입원하게 됩니다.
2. 가정형 호스피스 신청방법
담당의사로부터 암, 만성호흡부전, 만성간경화,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말기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진단 후 환자와 가족이 가정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희망할 경우, 담당의사는 의료기관내 혹은 타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전문가 팀에 진료 의뢰합니다. 타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 진료를 받으려면 다음의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기관마다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진료 전 확인 필요합니다)
▷ 진단 및 주요 병력이 기재된 의사소견서 또는 진료 의뢰서
▷ 의무기록사본: 최근 검사결과(혈액 및 영상검사), 최근 약 처방 내역
▷ 영상 복사(CD 또는 DVD) : 최근 촬영한 CT, MRI, PET-CT, x-ray 등
또한, 진료 전에 다음 사항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자 거동이 불가능한 경우 가족 대진이 가능한지
▷ 해당 기관에서 간병도움(보조활동인력)을 받을 수 있는지
▷ 상기 서류 외 지참 필요한 서류가 있는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상담 후 가정형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이 결정되면 호스피스 · 완화의료 이용동의서를 작성하고 이후 절차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3. 자문형 호스피스 신청방법
담당의사로부터 암, 만성호흡부전, 만성간경화,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말기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진단 후 환자와 가족이 자문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희망할 경우, 담당의사는 의료기관내 혹은 타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전문가 팀에 진료 의뢰합니다. 타 의료기관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 진료를 받으려면 다음의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기관마다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진료 전 확인 필요합니다)
▷ 진단 및 주요 병력이 기재된 의사소견서 또는 진료 의뢰서
▷ 의무기록사본: 최근 검사결과(혈액 및 영상검사), 최근 약 처방 내역
▷ 영상 복사(CD 또는 DVD) : 최근 촬영한 CT, MRI, PET-CT, x-ray 등
또한, 진료 전에 다음 사항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자 거동이 불가능한 경우 가족 대진이 가능한지
▷ 해당 기관에서 간병도움(보조활동인력)을 받을 수 있는지
▷ 상기 서류 외 지참 필요한 서류가 있는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상담 후 자문형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이 결정되면 호스피스 · 완화의료 이용동의서를 작성하고, 이후 절차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마무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해 단순히 죽기 직전에 받는 서비스라는 인식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보았듯이 호스피스 · 완화의료 서비스는 단순이 죽기 직전에 받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가족분들을 위해 신체적 정서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서비스입니다. 전국적으로 많은 호스피스 전문 병원이 있으며, 국민건강보험도 적용됩니다.
전문병원 찾기-지도로 찾기 >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병원 > 중앙호스피스센터
hospice.go.kr:8444
호스피스·완화의료 정의 > 호스피스·완화의료 > 중앙호스피스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 정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환자의 신체적 증상을 적극적으로 조절하고 환자와 가족의 심리 사회적, 영적 어려움을 돕기 위해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이루
hospice.go.kr:8444
'건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석증 원인 증상 및 치료법, 예방 알아보기 (82) | 2024.02.11 |
---|---|
무지외반증 원인 및 증상, 치료법과 예방법 한 눈에 알아보기 (69) | 2024.02.06 |
온 몸이 굳어가는 병 '루게릭병' (83) | 2024.01.30 |
인간이 느끼는 가장 큰 고통 CRPS(복합부위통증증후군) (83) | 2024.01.29 |
탈모로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마법 샴푸 등장! (8)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