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 몸에서 제일 멀리 있고 잘 보는 부위가 아니라서 관리를 소홀히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또 신발을 신고 오랜 시간 생활하기 때문에 발이 불편하거나 모양이 변형돼도 당연시 생각하기도 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우리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발의 질환 중 하나인 무지외반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지외반증이란?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어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튀어나와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관절이 튀어나오는 것에 더해서 발가락이 발등으로 올라오거나 둘째발가락과 교차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무지외반증은 발 모양이 변형되는 질환이지만 방치하 무릎, 고관절, 척추, 목, 뇌까지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 원인 및 증상

     원인

    • 선천적 원인 : 평발, 넓은 발(모계유전 확률 높음)
    • 후천적원인 : 볼이 좁고 굽이 높은 하이힐, 키높이 신발, 발 사이즈보다 큰 신발 착용, 류마티스 관절염의 합병증

    증상

    • 신발을 신기가 불편하고 걸을 때 엄지발가락 부위에 통증이 있음
    • 엄지발가락 관절 부위가 동그랗게 부풀어 오름
    •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었으며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튀어나옴
    • 보행 시 엄지발가락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해 다른 부위에 통증이 생길 수 있음

    무지외반증 치료법

    • 비수술적 치료 : 튀어나온 부분을 자극하지 않는 편한 신발을 신어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교정기를 착용하여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벌려서 변형을 늦추거나 멈추게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경증인 경우에만 해당하며, 증상이 심할 때에는 수술을 해야 합니다.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완치 목적이 아닌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용도입니다.

     

    • 수술적 치료 : 엄지발가락이 20도 이상 틀어졌다면 수술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수술법으로는 원위 갈매기 절골술, 근위 중녹골 절골술이 있습니다. 환자의 나이, 발가락 상태 등을 고려해서 환자에게 적합한 수술을 진행합니다.

    원위 갈매기 절골술
    근위 중녹골 절골술

    예방법

    • 외형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발에 맞는 편한 신발을 신도록 합니다.
    • 바닥에 적당한 쿠션감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
    • 신발은 딱 맞는 것보다 약간 여유가 있는 사이즈를 선택하며 주기적으로 신발을 교체해 줍니다.
    • 집에 돌아온 후에는 발을 청결히 하며 마사지나 족욕 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