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영국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의 루스 브라우어 박사 연구팀은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와 알츠하이머병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미국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서 밝혔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연구 내용과 결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 내용 대상 : 2004년 ~ 2017년 사이에 발기부전 진단받은 40세 이상 남성 26만 9725명 방법 : 발기부전 치료제(PDE5I) 처방받은 그룹(55%)과 처방받지 않은 그룹(45%)으로 나눠 평균 5년간 추적 관찰 연구 결과 총 1,119명의 알츠하이머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발기부전 치료제 복용하는 그룹에서 749명, 복용하지 않는 그룹에서 370명의 알츠하이머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발기부전 약물을 복용한 사람들이 복용하지 않은 사람..

갑자기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어지럼이 한동안 지속되다가 괜찮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회성이 아닌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석증은 이런 증상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년 30만 명 이상이 이석증 진단을 받는다고 합니다.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하지만 주로 50대 이상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이석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증상 발생 시 자가 치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석증의 원인? 우리 귓 속에는 반고리관이 있습니다. 이 반고리관 주변에 이석이라는 물질이 있습니다. 이석은 반고리관 주변에서 우리 몸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이석이 어떤 이유에서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 내부로 들어와 옮겨 다니면 어..

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 몸에서 제일 멀리 있고 잘 보는 부위가 아니라서 관리를 소홀히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또 신발을 신고 오랜 시간 생활하기 때문에 발이 불편하거나 모양이 변형돼도 당연시 생각하기도 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우리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발의 질환 중 하나인 무지외반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지외반증이란?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어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튀어나와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관절이 튀어나오는 것에 더해서 발가락이 발등으로 올라오거나 둘째발가락과 교차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무지외반증은 발 모양이 변형되는 질환이지만 방치하 무릎, 고관절, 척추, 목, 뇌까지 손상시킬 수 ..

호스피스 · 완화의료는 삶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말기 환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삶의 질과 존엄성을 유지시켜 주는 육체적 정신적 돌봄 서비스입니다. 2024년 2월 현재 전국에 116개의 호스피스 전문병원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란 무엇이며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호스피스 · 완화의료란? 호스피스 · 완화의료는 말기 암과 만성호흡부전, 만성간경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으로 말기 판정을 받은 환자들과 가족들을 위해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이루어진 전문가들이 팀을 이뤄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료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유형 1. 입원형 호스피스 서비스 대상 : 말기암 환자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호스피..

우리의 몸이 하나씩 하나씩 마비되는 병이 있습니다. '루게릭병'이라고 부르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이 그것입니다. 근육의 마비 수축으로 시작해서 마지막에는 호흡기 질환 및 합병증으로 죽게 되는 병입니다. 이 번 블로그에서는 '루게릭병'의 증상과 진단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법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루게릭병이란? 루게릭병은 대뇌와 척수의 운동세포가 선택적으로 죽어서 온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게 되는 퇴행성 질환입니다. 영국의 유명한 이론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이 병에 걸렸었습니다. 그는 21세에 루게릭병에 걸린 뒤 사망할 때까지 휠체어에서 생활했습니다. 증상 근육 약화 및 손실: 루게릭병은 주로 근육을 통제하는 신경세포를 파괴하므로 근육이 약해집니다. 얼굴과 목의 근육에까지 전이되..

너무나 고통스러워서 차라리 죽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질환이 있습니다. CRPS가 바로 그것입니다. CRPS는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의 약자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용어입니다. 이 병을 앓고 있는 환자 10명 중 8명은 자살을 심각하게 생각했을 정도로 심각한 질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RP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RPS란 CRPS란 외상을 입은 이후 외상은 나았음에도 알 수 없는 통증이 계속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어떤 특별한 자극이 없이도 불에 데고, 칼로 베이는 듯한, 바늘로 찌르는 것 같은 통증을 유발하는 난치성 희귀 질환입니다. 증상 CRPS의 증상은 1형과 2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형은 특별한 신경 손상 없이 발생하는 것이며, 2형은 신경..